본문 바로가기
이로운 Wine/와인 정보

와인 병 크기에 따른 명칭과 역사

by EROUN 2025. 3. 12.

 

와인은 오랜 역사를 가진 술이며, 이를 담는 병의 크기와 명칭도 시대에 따라 발전해 왔습니다.

대부분의 와인 병 크기는 표준화되어 있지만, 특정 크기의 병에는 고유한 이름이 붙어 있으며,

이는 주로 성경에 등장하는 인물이나 역사적 배경에서 유래한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병의 크기는 와인의 숙성 방식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는데요! 지금부터 자세히 알아볼까요?!


 

 

와인병 크기와 명칭

 

1. 와인 병 크기별 명칭과 용량

와인 병은 기본적으로 750mL를 표준 크기로 하지만, 더 작은 병부터 대형 병까지 다양한 크기가 존재합니다.

 

 

명칭 용량 (mL) 기본 병 개수
(750mL 기준)
설명
Piccolo (피콜로) 187.5mL 1/4병 개인용 미니 병, 기내 서비스 등에서 사용
Demi (하프) 375mL 1/2병 작은 식사나 혼자 마시기 좋은 크기
Standard (스탠다드) 750mL 1병 가장 일반적인 크기
Magnum (매그넘) 1.5L 2병 숙성에 유리, 특별한 자리에서 자주 사용
Jeroboam (제로보암) 3L 4병 샴페인과 일반 와인에서 크기가 다름 (샴페인은 3L, 보르도는 5L)
Rehoboam (르호보암) 4.5L 6병 주로 샴페인 용으로 사용됨
Methuselah (므두셀라) 6L 8병 오래된 와인의 숙성용으로 적합
Salmanazar (살마나자르) 9L 12병 연회나 큰 행사에서 사용
Balthazar (발타자르) 12L 16병 희귀한 사이즈, 특별한 와인만 사용
Nebuchadnezzar (느부갓네살) 15L 20병 고급 와인 컬렉션에서 볼 수 있음
Melchior (멜키오르) 18L 24병 거의 수집가용, 일반 판매 드뭄
Solomon (솔로몬) 20L 26.7병 초대형 병, 소수의 와이너리에서만 생산
Sovereign (소버린) 26L 35병 특수 제작된 초대형 병
Primat (프리마트) 27L 36병 극도로 희귀, 거의 행사용
Melchizedek (멜기세덱) 30L 40병 가장 큰 공식 병, 거의 제작되지 않음

 


 

⭐ 추가 설명

 

 제로보암(Jeroboam, 3L)

 

🔍 왜 같은 3L 병인데 Jeroboam과 Double Magnum이 다르게 불릴까요?

 

1️⃣ 지역(와인 스타일)에 따른 차이: 보르도 vs. 샴페인 & 부르고뉴

병 크기(L) 보르도(Bordeaux) 명칭 샴페인(Champagne) & 부르고뉴(Bourgogne) 명칭
1.5L Magnum (매그넘) Magnum (매그넘)
3L Double Magnum (더블 매그넘) Jeroboam (제로보암)
5L Jeroboam (제로보암) (사용되지 않음)

 

 

보르도(Bordeaux) 와인에서는

  • 3L 병을 "Double Magnum(더블 매그넘)"이라고 부름.
  • 5L 병을 "Jeroboam(제로보암)"이라고 부름.

샴페인(Champagne)과 부르고뉴(Bourgogne) 와인에서는

  • 3L 병을 "Jeroboam(제로보암)"이라고 부름.
  • 5L 병 크기의 명칭은 없음.

👉 즉, 같은 3L 병이라도 보르도에서는 "Double Magnum"이라 부르고, 샴페인 & 부르고뉴에서는 "Jeroboam"이라 부르는 것!
👉 보르도 와인에서는 5L 병을 "Jeroboam"이라고 부르기 때문에, 같은 3L 병을 다르게 부르게 된 것.

 

 

 

므두셀라(Methuselah, 6L) vs. 임페리알레(Imperiale, 6L)

 

=>  6L는 "므두셀라"와 "임페리알레" 두 가지 명칭이 사용되는데, 어떤 와인이냐에 따라 다릅니다.

  • "므두셀라(Methuselah)" → 샴페인과 부르고뉴 와인의 6L 병
  • "임페리알레(Imperiale)" → 보르도 스타일 와인의 6L 병 즉, 같은 6L 병이라도 어떤 와인이냐에 따라 다르게 사용

 


 

 

2. 와인의 종류에 따른 병 크기 차이

와인의 종류에 따라 병 크기가 다르게 사용되기도 합니다.

 

🔹 샴페인과 스파클링 와인

스파클링 와인은 높은 기압을 견뎌야 하기 때문에 일반 와인보다 두꺼운 병을 사용하며,

대형 병에서 숙성될수록 거품이 더 정교해지는 특징이 있습니다.

래서 샴페인에서는 Magnum(1.5L) 이상의 병이 더 선호됩니다.

 

🔹 레드와 화이트 와인

레드 와인은 보통 숙성이 중요한 경우가 많아서, 큰 병을 사용할수록 산화 속도가 늦어져 장기 숙성에 유리합니다.

반면 화이트 와인은 산뜻한 맛을 유지하기 위해 작은 병을 선호하는 경우도 많지만, 오랜 숙성을 한 후 먹는 고급 화이트 와인의 경우는 큰 병을 선호합니다.

 

🔹 포트와인 & 디저트 와인

포트와인과 같은 강화 와인은 보통 500mL 또는 375mL 크기의 병에 담긴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한 번에 마시는 양이 적고, 고농축 된 특성 때문입니다.

 

 


 

 

3. 와인 병 크기의 역사적 변천

와인의 병 크기는 시간이 흐르면서 점점 표준화되었지만, 초창기에는 일정한 기준이 없었습니다.

 

  • 고대 로마 시대
    고대 로마에서는 주로 도자기 항아리(앰포라)에 와인을 보관했으며, 병보다는 큰 저장 용기를 사용했습니다.

  • 17세기 유리병 등장
    유리 제조 기술이 발전하면서 17세기부터 유리병에 와인을 담기 시작했으며, 초창기에는 크기가 일정하지 않았습니다.

  • 18~19세기 병 크기의 규격화
    18세기말부터 와인의 보관과 운송을 고려하여 병 크기가 점차 규격화되었고, 19세기 중반에는 현재의 750mL 표준이 정착되었습니다.

  • 현대 대형 병의 등장
    20세기 이후, 마케팅과 컬렉터 수요 증가로 인해 초대형 병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4.   와인은 왜 기본 사이즈가 750ml일까요?!  

 

매우 흔해서 사실 궁금해 한 적 없는 분도 많으실 거예요. 

 

=> 와인의 표준 병 크기가 750mL로 정해진 이유는 여러 가지 설이 있지만, 가장 신뢰할 수 있는 역사적 배경과 실용적 이유를 알려드릴게요!

 

현재 와인 병의 표준 크기가 750mL로 정해진 데는 몇 가지 설이 있습니다.

  1. 유리병 제조 기술의 한계
    초기 유리병 제작 기술로 만들어질 수 있는 적정 크기가 750mL였다는 설.

  2. 1갤런(약 4.5L)의 분배 기준
    영국과 미국에서 사용되던 1갤런 단위(4.5L)를 기준으로 했을 때, 750mL가 정확히 6병으로 나뉘어 효율적.

  3. 프랑스 와인 산업과 유럽 표준화
    19세기 프랑스에서 무역과 운송의 편의를 위해 750mL가 표준으로 정착되었으며, 이후 국제적으로 확산.

 

  • 와인 전문가 Jancis Robinson이 저술한 《The Oxford Companion to Wine》에 따르면,
    750mL는 영국의 1갤런(4.5L) 무역 단위를 기준으로 6병이 한 상자로 거래되면서 표준화되었다는 설이 가장 유력하다고 설명하고 있어요.  (출처: The Oxford Companion to Wine, Jancis Robinson)

  • Wine & Spirits Education Trust (WSET) 교육 자료
    WSET(Level 3) 교재에서도 750mL는 유리 제조 기술과 무역 편의를 이유로 표준화되었다고 언급돼 있습니다.
    와인 교육 기관에서도 공식적으로 무역상의 이유가 가장 큰 요인이라는 점을 강조하고 있어요. 
    (출처: Wine & Spirits Education Trust (WSET) 공식 교육 자료)

일부에서는 와인 숙성 중 증발하는 양과 관련 있을 거라는 추측을 하지만,

숙성과 증발(천사의 몫)과 750mL 병의 관계는 크지 않다고 봐야 합니다.

  • 오크통에서 숙성되는 동안 와인은 매년 약 2~3% 정도 증발.
  • 하지만 750mL 병 크기의 결정 요인은 주로 무역과 유리 제조 기술, 표준화 과정과 관련이 깊고,
  • 병 크기 자체가 숙성 중 증발과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정해졌다는 명확한 기록은 없습니다.

 


 

5. 와인 병 크기 명칭의 유래와 역사

 

1️⃣ 성경 속 왕들과 연관된 이름들

 

대형 와인 병들의 이름이 구약 성경에 등장하는 왕과 인물들에서 따왔다는 건 업계에서 널리 알려진 사실입니다.

예를 들어:

  • Jeroboam (제로보암, 3L/5L)
    • 이스라엘 왕국의 초대 왕인 여로보암 1세( Jeroboam I )에서 유래.
    • 그는 솔로몬 왕의 신하였다가 북이스라엘의 왕이 되었는데, "큰 왕국을 다스렸다"는 점에서 대형 병에 그의 이름이 붙었다는 설이 있습니다.
    • 출처: [The Oxford Companion to Wine - Jancis Robinson]
  • Rehoboam (르호보암, 4.5L)
    • 솔로몬의 아들로, 유다 왕국의 초대 왕이었던 르호보암에서 따온 이름.
    • 여로보암과 대비되는 인물로, 이 역시 왕의 이름이 대형 병에 붙은 것으로 보입니다.
  • Methuselah (므두셀라, 6L)
    • 성경에서 가장 오래 살았던 인물로 알려진 므두셀라(969세까지 살았다고 전해짐)에서 유래.
    • 와인의 숙성(오래 보관할 수 있음)과 관련된 상징적인 의미로 사용된 것으로 보입니다.
    • 출처: [Wine & Spirits Education Trust (WSET) 교육 자료]
  • Salmanazar (살마나자르, 9L)
    • 아시리아의 왕 살만에셀에서 유래.
    • 대형 병이 강력한 왕의 이름을 따서 명명된 패턴을 따릅니다.
  • Balthazar (발타자르, 12L)
    • 동방박사 중 한 명인 발타자르에서 유래.
    • 왕의 예물을 들고 온 동방박사라는 점에서 와인의 귀한 가치를 상징합니다.
  • Nebuchadnezzar (느부갓네살, 15L)
    • 바빌론의 강력한 왕 느부갓네살 2세에서 유래.
    • 바빌론을 가장 강력한 제국으로 만든 왕이었기 때문에, 가장 큰 병 중 하나에 그의 이름이 붙었습니다.
  • Melchizedek (멜기세덱, 30L)
    • 성경에 등장하는 전설적인 인물로, 신비로운 제사장 겸 왕.
    • 가장 큰 병에 이 이름이 붙은 이유는 정확하지 않지만, 권위와 희귀함을 상징하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2️⃣ 이 명칭을 누가 처음 사용했을까요?

 

정확한 최초 명명자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프랑스 와인 업계에서 시작된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보르도(Bordeaux)와 샴페인(Champagne) 지역에서 19세기 후반~20세기 초반부터 대형 병을 생산하며 이러한 명칭을 사용하기 시작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 프랑스의 대형 샴페인 하우스들(예: Moët & Chandon, Veuve Clicquot)이 대형 병을 만들면서 성경 속 이름을 사용했다는 설이 있음.
  • 보르도 와인에서도 같은 명칭을 사용하기 시작하면서 널리 퍼진 것으로 보임.
  • 출처: [Comité Champagne (샴페인 협회) 공식 자료]

 

3️⃣ 왜 성경 속 인물의 이름을 붙였을까?

  1. 왕과 권력을 상징
    • 대부분의 이름이 왕(예로보암, 느부갓네살, 살마나자르 등) 또는 중요한 종교적 인물(멜기세덱, 므두셀라 등)에서 유래했어.
    • 와인은 귀한 술이었고, 대형 병은 더욱 희귀했기 때문에 왕의 이름을 붙여 위엄을 강조한 것으로 보임.
  2. 와인의 숙성과 관련된 의미
    • 므두셀라(오래 산 인물) → 와인의 장기 숙성
    • 발타자르(예물을 가져온 인물) → 고급 와인의 가치
  3. 고급 와인 마케팅 요소
    • 19~20세기 초반 프랑스 와인 업계에서는 대형 병을 희귀하고 가치 있는 것으로 홍보할 필요가 있었고,
    • 성경 속 왕들의 이름을 붙이면 더욱 웅장한 느낌을 줄 수 있었음.

 


 

와인의 병 크기는 단순한 용량 차이를 넘어, 역사와 문화, 숙성 방식까지 반영되어 있습니다.

특히 대형 병은 숙성에 유리할 뿐만 아니라, 특별한 행사에서 상징적인 의미를 가지기도 합니다.

 

병의 명칭이 성경 인물에서 유래한 점도 흥미로운 부분이고, 샴페인과 스틸 와인의 병 크기 차이도 고려할 요소예요~ 와인의 세계는 병 크기 하나만 봐도 이렇게 깊은 이야기가 담겨 있답니다! 🍷

 

다음에 또~ 유익한 정보 안내드릴게요~

 

 

 

※ 과음은 건강에 해롭습니다.
유익하고 즐거운 와인 생활을 위하여!🥂


 

자료 출처

 

  • 프랑스 와인 협회 (Institut National de l'Origine et de la Qualité - INAO)
  • 샴페인 생산자 협회 (Comité Champagne)
  • 유명 와이너리 공식 웹사이트 (Château Margaux, Dom Pérignon 등)
  • 와인 서적 (예: "The Oxford Companion to Wine" by Jancis Robinson)
  • Wine & Spirits Education Trust (WSET) 교육 자료